본문 바로가기

전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라이브러리
EOS코인과 DApp(voice)
쇼핑몰별 카테고리 갯수(네이버쇼핑, 쿠팡, 11번가, G마켓, 옥션) 네이버쇼핑 - 대분류 : 11 - 중분류 : 144 - 소분류 : 1482 쿠팡 - 대분류 : 17 - 중분류 : 253 - 소분류 : 2433 11번가 - 대분류 : 13 - 중분류 : 184 - 소분류 : 1945 G마켓 - 대분류 : 9 - 중분류 : 77 - 소분류 : 1427 옥션 - 대분류 : 8 - 중분류 : 72 - 소분류 : 1106
오픈소스 배포시 소스코드 제공의무와 범위 o Work Based on the Code -제공의무: 원 저작물의 소스코드를 원본 그대로, 혹은 수정하여 새로운 SW에 포함하였을 경우 -제공범위: 원 저작물의 소스코드가 포함되어, 파생 저작물로 인정되는 범위내의 모든 소스코드 -GNU GPL, GNU AGPL 등 o Derivative Work -제공의무: 원 저작물의 소스코드를 수정하여 사용한 경우 제공의무가 존재하며, 수정 없이 그대로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소스코드를 제공하지 않아도 됨 -제공범위: 원 저작물을 사용함에 있어 수정을 거쳤다면, 원 저작물의 소스코드에서부터 존재하던 파일을 모두 공개해야 하며, 파생 저작물의 저작자가 추가적으로 생성한 부분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아도 됨 -GNU LGPL, NASA Open Source Agreeme..
SNS 성공사례 - 페이스북(Facebook) 페이스북의 시초는 FaceMash로 2명의 여학생 사진을 두고 누가 더 매력있는지를 결정하는 웹사이트였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이상형월드컵과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하버드대학교 여학생이었다는게 문제였지요. 이 일로인해 마크 저커버그는 처벌을 받게 되고, 2004년 2월 4일, 마크저커버그와 에드와도 세버린은 기숙사에서 더페이스북(thefacebook)의 웹페이지를 만들게 됩니다 처음에는 하버드 학생으로만 이루어졌지만, 이후에 아이비리그, 주변의 학교로 빠르게 퍼져나가게 되는데..... 2005년 the를 뺀 facebook.com 도메인 이름을 20만달러에 구매하고, 2006년 9월에는 전자우편주소(e-mail)이 있는 이용자라면 누구나 가입을 할 수 있게됩니다. 현재는 전세계에서 1/3의 이용..
SNS 성공사례 - 인스타그램(Instagram) 인스타그램 : 인스턴트(Instant) + 텔레그램(Telegram) 인스타그램은 2010년 10월, 케빈 시스트롬과 마이크 크리거가 창업했다. 케빈은 원래부터 사진을 좋아하는 사진광이었고, 스탠퍼드대 2학년 재학 중 대용량 사진을 공유할 수 있는 "포토박스"를 만들었다. 이로 인해 페이스북의 창업자에게 입사 제의를 받기도 했지만, 학업을 위해 거절한다. (이후에 인스타그램은 페이스북에 10억 달러에 인수 됌) 이후 케빈은 오데오에서 인턴, 구글에서 2년, 넥스트스톱에서 일하다 사업을 하기로 마음먹는다 * 오데오 : 트위터의 전신 팟캐스트 서비스 * 넥스트스톱 : 여행관련 정보 공유 서비스 (페이스북에 인수 됌) 이후 마이크 크리거와 함께 버븐을 만들었지만, 버븐은 실패했다. 하지만 버븐을 통해 이용자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 MySQL의 발전 과정 MySQL AB 1985년 TcX라는 회사에서 Unireg라는 툴을 웹에 사용하기위해 SQL지원이 필요했고, 1996년 몬티 와이드니어스는 MSQL을 참고해 MySQL을 개발하게 된다. 이후 몬티는 MySQL AB라는 회사를 창립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오픈소스 운동을 주도했고, 2008년, 썬 마이크로시스템즈가 MySQL AB를 10억달러(약 1조원)에 매수했다. 2010년, 오라클이 다시 썬 마이크로시스템즈를 72억달러(약 7.2조)에 매수했다. 현재, MySQL은 오라클DB, MS SQL과 더불어 3대 DBMS로 불리고 있다. MySQL의 버전 MySQL은 엔터프라이즈버전, 클러스터버전, 커뮤니티 버전으로 나뉘어 있는데, 배포(판매)를 할 때 소스를 공개하려면 커뮤니티버전을, 공개하지않으려면 엔터프라이즈..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 리눅스의 발전 과정 GNU프로젝트의 시작 리처드 스톨만이 시작한 GNU프로젝트의 목적은 자유소프트웨어로 구성된 하나의 유닉스를 만드는 것이었다. 1985년부터 시작했던 GNU프로젝트는 1990년이 되어서야 거의 완성되었지만, 운영체제에서 핵심이 되는 커널이 빠져있는 상태였다. 스톨만은 Mach를 기반으로 한 커널인 Hurd라는 이름의 커널을 개발하기 시작했으나, 개발이 좀처럼 진전이 없었다. 리눅스(리누스의 미닉스)의 등장 리눅스는 리누스 토발즈(21살의 대학생)에 의해 개발되었는데, 대학에서 미닉스(교육용 유닉스)를 사용하던 중 불편해서 개발한 운영체제가 리눅스이다. 리눅스의 목적은 i386계열에서 운영되는 유닉스 호환 운영체제였다. 1991년 9월 리눅스 0.01버전이 공개되었는데, 가장 기본적인 커널만 포함하고 있었고..